Tech/BoostCourse - WEB 썸네일형 리스트형 [부스트코스] MySQL 시작하기(1/4) (SQL이란?, DB 생성, 사용자 생성과 권한) 사람과 사람이 대화하기 위해서는 언어가 필요하다. 마찬가지로 DBMS에게 명령을 내릴 때도 특별한 명령이 필요하다. 이 명령을 SQL이라고 한다. SQL(Structured Query Language) - SQL은 데이터를 보다 쉽게 검색하고 추가, 삭제, 수정 같은 조작을 할 수 있도록 고안된 컴퓨터 언어이다. -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서 데이터를 조작하고 쿼리하는 표준 수단이다. SQL 문법의 종류 3가지 - DML(Data Manipulation Language): 데이터를 조작하기 위해 사용한다. INSERT, UPDATE, DELETE, SELECT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DDL(Data Definition Lanauage): CREATE, DROP, ALTER 등이 여기에 해당한다. - DC.. [부스트코스] 데이터베이스와 DBMS 데이터베이스 vs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 어린이가 가지고 있는 책(데이터)들을 데이터베이스라고 한다면, 그 책을 관리해주는 엄마는 데이터베이스 관리 시스템이라고 말할 수 있다.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개념 (정의) - 데이터의 집합 (a Set of Data) - 여러 응용 시스템(프로그램)들의 통합된 정보들을 저장하여 운영할 수 있는 공용(share) 데이터의 집합 - 효율적으로 저장, 검색, 갱신할 수 있도록 데이터 집합들끼리 연관시키고 조직화되어야 한다. 데이터베이스의 특성 - 실시간 접근성(Real-time Accessability) 사용자의 요구를 즉시 처리할 수 있다. - 계속적인 변화(Continuous Evolution) 정확한 값을 유지하려고 삽입, 삭제, 수정 작업 등을 이용해 데이터를 .. [부스트코스] JSP - JSTL(JSP Standard Tag Library) JSTL이란? JSTL(JSP Standard Tag Library)은 JSP 페이지에서 조건문 처리, 반복문 처리 등을 html tag형태로 작성할 수 있게 도와준다. 잘 쓰고 있는 것을 다시 html로 만든다고? 개발의 편의성은 높았지만 java코드와 html이 섞여있어 프론트 개발자가 해당 코드를 수정하기 어려웠고 결국 유지보수가 어려운 문제에 봉착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 등장한 것이 JSTL이다. JSTL은 태그 형식으로 로직을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해주기 때문에 프론트 개발자들에게 더 친숙하게 느껴질 수 있게 되었다. JSTL을 사용하려면? - http://tomcat.apache.org/download-taglibs.cgi에서 3가지 jar 파일을 다운로드 한 후 WEB-INF/lib/ .. [부스트코스] JSP - EL(Expression Language) 표현 언어란? 표현 언어(Expression Language)는 값을 표현하는 데 사용되는 스크립트 언어로서 JSP의 기본 문법을 보완하는 역할을 한다. 표현 언어가 제공하는 기능 - JSP의 스코프(scope)에 맞는 속성 사용 - 집합 객체에 대한 접근 방법 제공 - 수치 연산, 관계 연산, 논리 연산자 제공 - 자바 클래스 메소드 호출 기능 제공 - 표현언어만의 기본 객체 제공 표현 언어의 표현 방법 표현 언어의 기본 객체 표현 언어의 기본 객체 사용 예 표현 언어의 데이터 타입 - 불리언 타입 - true와 false - 정수타입 - 0~9로 이루어진 정수 값 음수의 경우 '-'가 붙음 - 실수타입 - 0~9로 이루어져 있으며, 소수점('.')을 사용할 수 있고, 3.24e3과 같이 지수형으로 표.. [부스트코스] Servlet/JSP - Scope Scope란? Servlet과 JSP를 개발하다보면 변수를 많이 다루게 된다. 어떤 변수는 웹 어플리케이션에서 공유하고 싶은 변수가 있을 수도 있고, 어떤 변수는 사용자 별로 유지하고 싶은 변수가 있을 수 있다. 또 어떤 변수는 포워딩 되는 동안 유지하고 싶은 변수가 있다. 이렇게 변수를 어떤 범위 내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코프(scope)라는 것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 Scope는 4가지 종류가 존재한다. Application: 웹 어플리케이션이 시작되고 종료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Session: 웹 브라우저 별로 변수가 관리되는 경우 사용 Request: http요청을 WAS가 받아서 웹 브라우저에게 응답할 때까지 변수가 유지되는 경우 사용 Page: 페이지 내에서 지역변수처럼 사용 .. [부스트코스] servlet & jsp 연동 Servlet과 JSP 연동 - Servlet은 프로그램 로직이 수행되기에 유리하다. IDE 등에서 지원을 좀 더 잘해준다. - JSP는 결과를 출력하기에 Servlet보다 유리하다. 필요한 html문을 그냥 입력하면 된다. - 프로그램 로직 수행은 Servlet에서, 결과 출력은 JSP에서 하는 것이 유리하다. - Servlet과 JSP의 장단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Servlet에서 프로그램 로직이 수행되고, 그 결과를 JSP에게 포워딩하는 방법이 사용되게 되었다. 이를 Servlet과 JSP 연동이라고 한다. Servlet과 JSP 연동 실습 Servlet과 JSP를 연동하는 실습을 해보았다. 100이하의 랜덤 숫자 두 개를 더한 결과를 화면에 출력하는 페이지를 구현하는데 비즈니스 로직은 LogicSe.. [부스트코스] forward란? (forward와 redirect 차이) forward란? WAS의 서블릿이나 JSP가 요청을 받은 후 그 요청을 처리하다가, 추가적인 처리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안에 포함된 다른 서블릿이나 JSP에게 위임하는 경우가 있다. 이렇게 위임하는 것을 포워드(forward)라고 한다. forward의 동작 과정은 위 그림과 같다. 웹 브라우저에서 Servlet1에게 요청을 보냄 Servlet1은 요청을 처리한 후, 그 결과를 HttpServletRequest에 저장 Servlet1은 결과가 저장된 HttpServletRequest와 응답을 위한 HttpServletResponse를 같은 웹 어플리케이션 안에 있는 Servlet2에게 전송(forward) Servlet2는 Servlet1으로 부터 받은 HttpServletRequest와 HttpSer.. [부스트코스] 리다이렉트(redirect)란? 리다이렉트(redirect) - 리다이렉트는 http프로토콜로 정해진 규칙이다. - 서버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요청을 받은 후, 클라이언트에게 특정 URL을 이동하라고 요청할 수 있다. 이를 리다이렉트라고 한다. - 서버에서는 클라이언트에게 응답으로 상태코드를 302와 함께 이동할 URL정보를 Location 값에 이동할 URL을 추가한다. 클라이언트는 리다이렉션 응답을 받게 되면 헤더(Location)에 포함된 URL로 재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때 브라우저의 주소창은 새 URL로 바뀌게 된다. - 클라이언트는 서버로부터 받은 상태 값이 302이면 Location헤더값으로 재요청을 보내게 된다. 이때 브라우저의 주소창은 전송받은 URL로 바뀌게 된다. - 서블릿이나 JSP는 리다이렉트하기 위해 HttpSer.. 이전 1 2 3 4 5 6 다음